[외산 가전의 새로운 도전](4)한국시장 전략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3 03:15
본문
Download : 02120.gif
브랜드 파워를 가진 세계 유수의 업체가 이러리라고는 상상도 못할 일이었지만 한국시장에서 이뤄졌다. 게다가 한국시장에 맞는 유통모델과 가격정책을 도입하지 않으면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짧고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국내 기업과의 가격경쟁에서 버틸 수 없다는 인식이 더욱 팽배해진 것이다.





[외산 가전의 새로운 도전](4)한국시장 전략
[외산 가전의 새로운 도전](4)한국시장 전략
급변하는 한국의 유통시장은 외산기업들에 새로운 도전이다.
레포트 > 기타
순서
‘돌다리도 두드리고 건너간다’는 외국계 기업들의 보수적 경영은 한국시장에서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과거의 경험이 이들의 체질改善(개선) 을 앞당기고 있는 셈이다.
Download : 02120.gif( 64 )
이는 외국가전업체들이 독자적 방식으로 영업을 추구해 오던 데서 탈피해 외국기업들이 한국토양알기에 나섰고 한국시장을 인정하는 계기가 됐다. 최근 국내 진출 외국 가전업체들의 유통·AS망에 대한 괄목할 만한 움직임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
‘유통· AS시장을 뚫어라.’
그동안 이들은 이같은 인식을 행동으로 옮기지는 않았지만 최근 이들의 움직임은 인식alteration(변화) 를 그대로 반영하는 듯하다.
지난 하반기 일본 가전의 자존심인 소니의 한국법인장 이명우 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“삼성전자와 소니의 직접 비교를 자제해 달라”고 주문한 일은 대표적 예다. 샤프전자가 오프라인과 온-라인을 연계한 자체 Internet사이트를 오픈하고 이 사이트를 통해 제품판매와 함께 AS를 제공하고 있고, 한국코닥도 LG홈쇼핑 및 할인점을 통한 이벤트와 로드쇼 등 신유통을 통한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
[외산 가전의 새로운 도전](4)한국시장 전략
외산기업들은 삼성전자가 디지털캠코더 사업을 강화하면서 기존 소니, JVC의 양강체제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올림푸스한국, 소니코리아 등 디지털카메라 업체들도 삼성테크윈의 공격경영에 혀를 내두르고 있다 “외산 기업들이 국내 삼성과 LG의 2S(스피드, 서비스)와 연중 무差別(차별) 적인1A(광고)에 대항하기엔 현실적으로 역부족”이라고 한 파나소닉 관계자의 말 역시 한국시장의 특수성에 대한 이들의 느낌을 잘 대변한다. 그의 말은 한국과 일본기업의 토양과 기업의 성격·지향점이 다르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인용되는 말이 됐다.
[외산 가전의 새로운 도전](4)한국시장 전략
이는 그동안 대리점, 총판점 등 오프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를 해 왔던 외산기업들의 유통체계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해졌음을 실감케 하는 계기로 작용했다.
최근 1∼2년새 이들은 신제품으로 시장 진출을 꾀하기가 무섭게 한국기업들의 추격을 당하면서 ‘초기진입자’의 프리미엄을 확보하기 가장 어려운 한국시장을 뚫기 위해 가장 먼저 유통망 改善(개선) 에 눈을 떴다. 대표적 신유통으로 자리잡은 홈쇼핑과 이마트 등 할인점은 물론 온-라인쇼핑시장의 활성화도 유례를 찾기어려울 정도의 호조다.
수년 전만 해도 한국식 유통에 신경을 쓰지 않고 단순한 대리점역할에 만족했던 외산가전 한국법인들이 최근 부쩍 유통에 신경을 쓰고 있다 ‘유통에서 무너지면 살아날 수 없다’는 이들의 절박한 심경을 반영하듯 이들의 온오프라인상 AS지원 및 유통영역확대도 날로 확대되고 있다
다.
설명
격변하는 신유통의 흐름에 승차하려는 외국가전업체들은 어느 새 세계적 수준에 오른 한국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온-라인과 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창출과 유통의 포트폴리오 책략실행을 실행해 가고 있다 <김원석기자 stone201@etnews.co.kr>
필립스전자가 신제품을 출시할 경우 홈쇼핑 등 신유통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고, 올림푸스한국이 ‘본사-대리점-소매점-고객’에 이르는 4단계 유통채널을 구축한 것은 그 대표적 사례(instance)다.